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돼지 머리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으로 해석되며, 입·코·주둥이를 표현한 상형자입니다.
돼지 머리를 표현한 부수로서 “입, 돼지 머리, 음식과 관련된 동작” 등을 상징하며,
감각기관 또는 입을 사용한 행동과 관련된 글자에 사용됩니다.
収(거둘 수)
彑 (돼지머리 계) + 攵(칠 복) 합쳐져 돼지 머리가 계속 부딪치며 먹을 것을 거두니収(거둘 수)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 보면 세 가닥의 가느다란 털(또는 빛나는 선)을 나타낸 상형문자입니다.
“털, 선, 빛, 장식, 아름다움”과 관련된 글자에 사용됩니다.
形(형상 형)
开(열 개) + 彡(터럭 삼) 합쳐져 열어보니 미세한 털까지 보인다고 形(형상 형)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주살 익(弋)', '활 공(弓)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사냥용 무기로 화살에 줄을 달아 쏘고 다시 끌어당길 수 있게 만든 무기를 형상화했습니다.끝에 갈고리가 있거나 줄이 달린 무기로 회수 가능한 사냥 도구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창 과(戈)', '지게 호(戶) (0) | 2025.03.31 |
---|---|
한자 부수 스토리 : '두인변 척(彳)', '마음 심(心) (0) | 2025.03.30 |
한자 부수 스토리 : '주살 익(弋)', '활 공(弓) (0) | 2025.03.28 |
한자 부수 스토리 : '끌 인(廴 )', '스물입 공, 두 손 맞들 공(廾) (1) | 2025.03.27 |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요(幺)', '엄호 엄, 집 엄(广) (0)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