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요(幺)', '엄호 엄, 집 엄(广)

by JadeWolveS 2025. 3. 26.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실(糸)의 가늘고 꼬인 끝을 형상한 상현 문자입니다.
가늘고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을 표현하여 “아주 작다”라는 뜻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주로 크기가 작거나 순서상 마지막, 허상이나 미세함을 나타내는 의미로 파생되었습니다.

幼(어릴 유)

幺(작을 요) + 力(힘 력)이 합쳐져 작은 힘이라 하여 어린 의미에 幼(어릴 유)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지붕 아래 공간이나 움막을 본뜬 상형자입니다.
사람이 지붕 아래 머물고 있는 모습으로 의미를 확장 시켜 공적인 장소(관청, 사당), 실내 공간, 혹은 건물 구조와 관련된 글자의 부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店(가게 점)

广(덮개) + 占(차지할 점) 합쳐져 지붕을 치고 차지하고 있는 곳은 가게니 店(가게 점)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수건 건(巾)', '방패 간(干)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원래 머리에 두르는 천이나 수건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에서 유래했습니다. 막대기(丨)에 천이나 깃발을 걸쳐놓은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주로 수건, 헝겊,

jadewolv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