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

한자 부수 스토리 : '주살 익(弋)', '활 공(弓)

by JadeWolveS 2025. 3. 28.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사냥용 무기로 화살에 줄을 달아 쏘고 다시 끌어당길 수 있게 만든 무기를 형상화했습니다.
끝에 갈고리가 있거나 줄이 달린 무기로  회수 가능한 사냥 도구로 '얽다, 잡다'의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式(법 식, 방식 식)

弋(주살) + 工(장인 공) 합쳐져 장인(工)이 무기(弋)를 이용해 일정한 방식으로 조정한다 하여 式(법 식, 방식 식)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활의 휘어진 형태를 본뜬 상형자입니다.
줄을 당기면 구부러지는 무기의 모습을 형상화했습니다.
긴장, 탄력, 공격성 등 의미로 확장됩니다.

引(끌 인)

弓(활 궁) +丨(막대 곤) 합쳐져 활을 당기듯한 모습이라하여 引(끌 인)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끌 인(廴 )', '스물입 공, 두 손 맞들 공(廾)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사람이 다리를 길게 벌려 한 걸음씩 나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길게 끌며 걷는 동작’을 상징하며, 지속적인 이동, 행군, 인도함 등의 개념으로

jadewolv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