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1202

백악관 정상회담 참사, 트럼프 압박 속 '송양지인' 젤린스키 사자성어 유래 의미춘추시대 송(宋)나라의 군주 송양공(宋襄公) 춘추오패(春秋五霸) 중 하나를 꿈꾸며‘대의(大義)를 지키는 전쟁법’을 강조했습니다. 송나라와 초(楚)나라가 교전할 때, 초나라 군대가 강을 건너는 상황에서도 송 양공은 공격을 중지시켰습니다. 적이 모두 건너 전열을 갖춘 뒤에 정정당당히 싸우겠다는 명분이었습니다. 초나라 군대는 무사히 강을 건너 진영을 갖춘 뒤, 송나라를 역으로 공격해 송 양공의 군대를 대패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송나라 세력은 약화되었고, 송 양공은 이후 “현실을 무시한 헛된 인”을 부린 대표적 사례로 남았습니다. “어리석고 지나친 인(仁), 즉 현실감 없는 과도한 자비심이나 관용”을 비꼬거나 비판할 때 쓰는 사자성어입니다.이슈로 살펴보는 의미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는 군사 .. 2025. 3. 26.
한자 부수 스토리 : '수건 건(巾)', '방패 간(干)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원래 머리에 두르는 천이나 수건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에서 유래했습니다. 막대기(丨)에 천이나 깃발을 걸쳐놓은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주로 수건, 헝겊, 천 등을 의미합니다. 너비나 두루마리 등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市 (시장 시)巾(수건 건) + 亠(머리 두)가 합쳐져 천을 가장 먼저 보이는 곳이라 하여 市 (시장 시) 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보면 방패의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에서 유래했습니다. 고대 역사에서 방패의 중앙 부분이 回 모양으로 표현되기도 했습니다.원래 방패를 의미했으나, 현대에는 '관여하다', '간섭하다'의 의미로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줄기'나 '막다'의 의미도 있습니다. 旱(가물 한) 干(방패 간) + 日(태양 일)이 합쳐져 태양을 막아서 가뭄이 든.. 2025. 3. 25.
오늘의 책 : 원하는 것이 있다면 끝까지 버텨라 - 인내심 습관 키우는 법 '원하는 것이 있다면 끝까지 버텨라'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끈기와 인내는 성공에 도달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3장 태도가 성공의 반이다 책 소개꺾이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힘, 끈기인내심은 목표와 꿈을 향해 꾸준히 나아갈 수 있는 능력, 다시 말해 ‘버틸 수 있는 능력’을 준다. 패스트 컴퍼니> 창업자는 열정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믿었고 포기하지 않았다. 말 그대로 마지막 한 푼까지 떨어져서 더 이상 아무 선택권도 남지 않았던 그날, 그는 잡지 창간으로 이어지는 기회를 잡았고 결국에는 출판 대기업에 엄청난 금액으로 잡지를 매각할 수 있었다. 난관을 헤치고 참을성 있게 계속 노력한다고 해서 꼭 엄청난 보상을 거두게 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어떤 꿈을 가졌든 .. 2025. 3. 24.
한자 부수 스토리 : '장인 공(工)', '몸 기, 이미 이, 뱀 사(己)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일하는 도구(직각자, 공구) 또는 작업대를 형상화한 글자로 해석됩니다.직각자(工)는 장인이 일할 때 직각자사용하는 도구이므로, "일하다", "제작하다", "기술", "노동"과 같은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功(공 공, 공로 공)工(일) + 力(힘 력)이 합쳐져 힘(力)을 들여 일(工)함으로써 이루어진 성과라하여 功(공 공, 공로 공)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몸을 구부린 형상 또는 뱀처럼 휘어진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記(기록할 기)言(말씀 언) + 己(자기 자신)이 합쳐져 말하는 것을 스스로 기록한다고 하여 記(기록할 기)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메 산(山)', '내 천(川)'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 2025. 3. 24.
유튜브 조회수 50원, 구독자도 돈으로? 유튜버 인기의 ‘빛 좋은 개살구’ 현실 속담의 유래와 의미과거 농경 사회에서, 살구를 재배하거나 채집할 때 “개살구”가 섞여 있으면 겉보기에는 익은 살구와 구분이 잘 안되어 낚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막상 먹어 보면 맛이 없고 시거나 떫어 실망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경험이 누적되면서 “빛 좋은 개살구”라는 비유가 일상생활에서 생겨났습니다. 멀리서 볼 때는 먹음직스러운 살구처럼 보이지만, 막상 먹으면 맛이 없는 ‘개살구’(덜 익거나 맛없는 살구)에 빗댑니다. 사람의 언행 불일치나 실속 없는 겉치장을 비판할 때 자주 활용되었습니다.속담의 사례초등학생 직업 1위로 유튜버가 자리에 올랐습니다. 유튜버란 구글에서 만든 플랫폼 유튜브에 나오는 사람으로 조회수와 구독자가 높으면 한 달에 많게는 1억 도 벌 수 있는 곳입니다. 이 플랫폼은 영상을 만들어.. 2025. 3. 23.
한자 부수 스토리 : '메 산(山)', '내 천(川)'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산봉우리 세 개가 솟아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 문자입니다. 자연에서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인 산을 직관적으로 표현한 글자로, 산의 기운, 지형적 요소와 관련된 한자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岳(큰 산 악, 높은 산 악)山(산) + 丘(언덕 구)가 합쳐져 산위에 있는 언덕이라하여 岳(큰 산 악, 높은 산 악)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물줄기 여러 개가 흐르는 모양을 단순화하여 상형한 글자입니다. 세 개의 세로선이 흐르는 물줄기를 나타내며, 이로부터 강, 하천, 물과 관련된 개념을 표현하는 글자가 되었습니다.초기 자형에서는 세 개의 선이 물결치는 모양을 강조하였으며, 점차 현대 한자의 형태로 정리되었습니다.  州(고을 주, 섬 주) 川(내 천) +丶(점 주) 가 합쳐져.. 2025.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