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세상 식견/청랑 이슈 식견

부산 노인과 바다 오명으로 북항 개발 승부수, 역사 속 성공 사례는?

by JadeWolveS 2025. 3. 21.

학령인구 감소! 비수도권!대표기업 없는 부산 북항개발에 필사적

부산은 학령인구 급격한 감소로 문 닫은 학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부산시 교육청과 부산 시의회에 따르면 부산에서 문 닫은 학교는 모두 50곳입니다. '제2의 수도'라는 지위는 이미 경제 규모에서 서울에 가까운 인천에게 뒤처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인천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은 116조8630억원으로, 부산(114조1650억원)을 추월했습니다.  지역 내 총생산은 해당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합산한 것으로, 경제 규모를 비교하는 데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인구 등 다른 지표를 봐도 인천과 부산의 희비는 명확하게 엇갈렸습니다.

지난 1월 기준 부산 인구는 5년 전보다 14만 8000명 감소했는데 인천에선 이 기간 6만 8000명 늘었습니다. 여전히 부산 인구가 인천보다 많다지만, 노인 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 때문에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실업자를 뜻하는 '경제활동인구'로 비교하면 1월 기준 처음으로 인천(174만 7000명)이 부산(172만 1000명)을 앞서면서, 부산은 '노인과 바다'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습니다. 대표 기업도 없어 젊은 취업자들은 구직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부산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도심은 북항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북항 개발로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려는 부산의 야심찬 계획 과거 대제국 로마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해운대 부촌이라 불리는 마린시트 출처 gettyimagesBank


번영하는 로마에 오스티아 항구 쓰임 다해

오스티아는 기원전 4세기부터 로마의 주요 항구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한편 번영하는 로마의 인구를 감당하기에 오스티아 항구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수심이 낮아 대형 선박이 정박하기 어려웠고, 자주 발생하는 퇴적물로 인해 항구가 막히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강한 파도와 폭풍우로 인해 선박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로마로 들어오는 곡물, 올리브유, 와인 등의 수입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리하여 로마로 들어오는 물품 사정이 원활하지 않아 로마 물가는 하루가 다르게 극심한 가격 변동을 겪었습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스티아 항구 북쪽 3km 지점에 새로운 항구를 건설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포르투스 항구 건설하다 

클라우디우스는 서기 42년경부터 새로운 항구 건설을 시작했으며, 약 4년 후 완공되었습니다. 포르투스 항구는 로마의 실용 기술을 보여주는 집약체였습니다. 거대한 인공 방파제를 바도로 돌출되게 만들어 강한 파도로부터 항구를 보호했습니다. 두 개의 주요 부두를 건설하여 대형 곡물선과 무역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부두를 조성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등대를 본떠 거대한 등대를 세워 야간에도 항해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로마까지 곡물과 물자를 빠르게 운송하기 위해 항구에서 티레르강으로 연결되는 운하를 만들었습니다. 포르투스 항구 덕분에 로마는 원활하게 곡물을 공급발을 수 있었고, 해상 무역이 크게 활성화 되었습니다. 

고대 로마 제국 포르투스 항구


트라야누스 황제 포르투스 항구 문제점 개선하다

클라우디우스가 만든 항구는 강한 폭풍과 퇴적물 문제로 인해 여전히 개선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트라야누스 황제는 항구를 더욱 확장하고 개량하는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먼저 육각형 인공 호수(Lacus Traianus) 건설하여 효율적인 형태의 거대한 인공 항구를 추가했습니다. 면적이 넓고 선박 정박이 용이했으며, 항구 내에서 파도가 덜 발생하도록 설계합니다. 기존 클라우디우스 항구의 퇴적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 시스템을 개선했습니다. 로마로 들어오는 물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거대한 창고와 행정 시설을 추가로 건설하였습니다. 포르투스 항구는 로마 제국의 가장 중요한 해상 무역 중심지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수 세기 동안 로마의 경제와 식량 공급을 책임지는 핵심 거점이 되었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반도의 국제 무역항은 어디였을까?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된 한국의 대표 공업도시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은 모든 국민이 하나가 되어 새마을 운동을 싣작으로 경제 성장을 시작했다. 현대는 국가의 적극적 지원아래 울산을 자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