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승부 흥행몰이 중
영화 승부가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54만여 명이 관람해 매출액 점유율 61.7%를 기록했으며, 누적 관객 수는 70만 명에 달합니다. 이병헌과 유아인이 각각 조훈현과 이창호로 출연한 이 작품은 1990년대 바둑 결승전을 배경으로 한 실화 기반 드라마입니다. 조훈현은 세계 최고 바둑 대회에서 우승한 전설적 기사로, 바둑 신동 이창호를 제자로 길렀습니다. 그러나 첫 사제 대결에서 조훈현은 제자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고, 이후 다시 승부를 벌이게 됩니다. 이처럼 사제지간이지만 경쟁자가 된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역사 속 사상적으로 대립한 사제 관계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스승 순자
순자(荀子, 기원전 약 313~기원전 238)는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유가(儒家) 사상가로, 공자의 전통을 잇되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세운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고 보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며, 도덕적 수양과 교육, 예(禮)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대비되며,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욕망을 따르는 존재이지만, 올바른 교육과 법도, 예절을 통해 선하게 변화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순자는 논리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을 가진 사상가로, 자연과 인간, 사회 질서에 대해 체계적이고 이성적인 설명을 시도했습니다. 그는 도덕과 질서의 핵심을 ‘예(禮)’에 두었으며, 군주의 역할과 국가의 통치를 강조하면서 후대 법가 사상에까지 영향을 주었습니다. 대표 저작은 『순자(荀子)』로, 인간과 사회, 정치, 교육에 대한 깊은 통찰이 담겨 있어 오늘날에도 중국 철학과 동양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고전으로 평가됩니다.
제자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기원전 280?~233)는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대표적인 법가(法家) 사상가로, 냉철한 현실 인식과 강력한 통치 철학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순자(荀子)의 제자로, 인간은 본질적으로 이기적이며, 사회의 질서와 국가의 안정을 위해서는 도덕보다 법(法)과 술(術, 통치 기술), 세(勢, 권력)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비자의 사상은 이상보다 현실을 중시하고, 지도자는 백성을 도덕적으로 이끌기보다는 법과 제도로 다스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의 대표 저작 『한비자(韓非子)』는 55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정치·인간 심리에 대한 예리한 통찰이 담겨 있어 고대 중국뿐 아니라 오늘날 정치철학과 조직 관리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순자 vs 한비자의 사상 차이점
구분 | 순자 | 한비자 |
인간관 | 성악설 → 교육과 예로 교화 가능 | 성악설 → 도덕 교육 무의미, 법으로만 통제 |
통치 철학 | 군주는 도덕과 예로 백성을 이끌어야 함 | 법, 술, 세로 통치해야 함 (군주도 의심해야 함) |
이상 사회 | 예(禮)를 통해 조화로운 사회 | 법과 권력으로 질서를 유지하는 사회 |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성과를 내려면 왜 경쟁자가 필요할까?
한국 축구 국가 대표팀을 감싸는 부정적인 여론현재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손흥민, 황희찬, 김민재, 이강인 등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황금세대라고 불린다. 카
jwsbook.com
'청랑 세상 식견 > 청랑 이슈 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탄핵 선고 지연, 좌우 이념대립으로 무너지는 한국과 유사한 역사 사례는? (6) | 2025.04.02 |
---|---|
이재명 방문에 이재민 분노, 민심을 잃은 지도자의 공통점 (1) | 2025.03.29 |
경북 산불보다 이재명 판결이 먼저인 국회의원들, 역사에서 배울 교훈은? (1) | 2025.03.28 |
짝퉁 불닭볶음면 K푸드 이미지 타격, 과거 중국도 피해자? (10) | 2025.03.27 |
일론 머스크 트랜스젠더 딸과 절연! 역사 속 유사 사례는? (1)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