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세상 식견/청랑 이슈 식견

짝퉁 불닭볶음면 K푸드 이미지 타격, 과거 중국도 피해자?

by JadeWolveS 2025. 3. 27.

한국 음식까지 뺏는 중국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해외에서 판매 중인 ‘짝퉁 불닭볶음면’이 K-푸드의 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그는 포장 디자인, 글씨체, ‘KOREA’ 및 ‘할랄’ 마크까지 진품과 유사해 소비자들이 쉽게 속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빙고원(BINGOONE)’이라는 이름과 ‘MADE IN P.R.C’ 표기가 있는 제품들이 중국에서 생산되어 세계 곳곳에 유통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과거 삼양식품 등 국내 식품기업들이 중국 업체를 상대로 지식 재산권 침해 소송을 제기해 일부 승소했지만, 실질적인 피해 보상은 미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짝퉁 식품의 확산이 K-푸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과거에는 중국이 다른 나라에 기술을 빼앗긴 적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좌)삼양이 최초로 개발한 불닭볶음면 (우)중국에서 만들어진 '짝퉁 불닭볶음면' 출처:서경덕교수 페이스북


고대 중국 도자기 서양에 인기 높아 복제품도 늘어

중국은 한나라 시기부터 도자기 제작에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당나라 이후에는 청자, 청화백자 등으로 기술이 정점에 달했습니다. 서양에서는 자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오랫동안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 도자기는 마치 ‘유리보다 단단하고, 금속보다 정교한 신비한 그릇’으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르네상스 시대 유럽 왕실과 귀족들은 중국 도자기를 권력, 부, 세련됨의 상징으로 간주하며 수집했고 일부 국가는 왕실 전용 중국 자기 컬렉션을 보유하기도 했습니다. 서양에서 도자기 인기가 높아지자 중앙아시아는 실크로드나 해상을 통해 중국 도자기를 수입하여 서양에 팔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수익을 얻은 중앙아시아는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제품을 생산하면서 유럽도 중국 도자기 복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명나라 청화백자 (출처:고궁박물관)


페르시아 카샨(Kashan) 도자기란?

카샨 도자기는 주로 12세기~14세기 (셀주크, 일 칸 시대) 이란 중부 도시 카샨(Kashan)에서 생산된 도자기입니다.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받아 정밀하고 화려한 장식, 고급 유약 기술, 이슬람적 문양을 접목한 고급 도자기입니다. 이 도자기는 금속광택을 입힌 고급 도자기로 은·구리 성분을 유약에 혼합하여 빛에 따라 반짝이는 황금빛 광택을 표현한 게 특징입니다. 주로 청회색 바탕 위에 갈색 또는 황금색 광택이 돌도록 제작하여 중국 도자기에서는 보기 어려운 이슬람 특유의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네덜란드 델프트 도자기 (Delftware)란?

델프트(Delft)는 네덜란드 남부의 도시 이름으로 17세기부터 이 지역에서 생산된 도자기를  델프트 웨어(Delftware) 또는 델프트 블루(Delft Blue)라고 부릅니다. 17세기 초반까지 중국 명나라의 청화백자(青花白磁)는 유럽 귀족 사이에서 매우 인기 높았습니다. 중국은 명청 교체기를 거치며 나라가 혼란스러웠고, 도자기 생산에도 차질을 빚습니다. 이에 네덜란드 상인(동인도회사)이 수입을 못 하자, 현지에서 비슷한 스타일을 자체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도자기의 특징은 흰 바탕에 푸른 코발트 무늬로 중국 청화백자의 전형적 스타일을 모방하였습니다. 초기 무늬에는 풍경, 꽃, 인물, 신화적 장면, 해양 테마 등을 베꼈으나, 점차 네덜란드 풍경, 목축, 풍차, 성경 장면 등 유럽식 디자인으로 변화하였습니다.

델프트 도자기 (Delftware)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타국 문화 강탈에 혈안이 된 중국, 이번엔 한국 전통 음식 돌솥비빔밥?

돌솥비빔밥이 자국 문화유산이라고 주장하는 중국한국의 대표 전통 음식 돌솥비빔밥이 중국의 성(省)급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중국 정부는

jadewolv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