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비(匕)’는 본래 숟가락 모양을 본뜬 상형(象形) 글자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고대 중국에서 ‘匕’는 주로 작은 숟가락이나 국자를 나타내는 뜻을 지녔는데,
이후 ‘匕首(비수)’처럼 ‘단도(短刀)’나 ‘단검’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확장되어 쓰이게 되었습니다.
즉, 초기에는 음식물을 떠먹는 숟가락에서 비롯되었으나,
그 모양이나 쓰임새가 변형·확장되면서 “작은 칼”의 뜻도 얻게 된 것입니다.
匕(비) + 匕(비) 로 단검을 들도 서로 등을 맞대고 있다 하여
北 도망가다 배, 추운 북쪽에 등을 돌린다 하여 北 북 북
한자 부수의 유래
상자(함)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로 고대에 물건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윗부분과 오른쪽이 트인 구조의 상자를 사용했습니다.
이 모양이 글자로 굳어졌다고 설명됩니다.
마치 박스 모서리를 옆에서 본 듯한 모습을 단순화한 결과가 ‘匚’입니다.
匚 상자 방 + 王 왕 왕은 왕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올바르게 잡아줘야 하니 바로잡다 광 匡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힘 력(力)', '쌀 포(勹)'
한자 부수의 유래 고대 농경사회에서 땅을 갈 때 쓰이던 간단한 쟁기(또는 갈이 도구)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라는 설입니다.농사를 짓는 데 가장 기본적인 ‘힘’이 필요하듯, 땅을 일구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점 복(卜)', '병부 절(卩)' (1) | 2025.03.13 |
---|---|
한자 부수 스토리 : '감출 혜(匸)', '열 십(十)' (2) | 2025.03.12 |
한자 부수 스토리 : '힘 력(力)', '쌀 포(勹)' (1) | 2025.03.10 |
한자 부수 스토리 : '입벌릴 감(凵)', '칼 도(刀)' (0) | 2025.03.09 |
한자 부수 스토리 : '얼음 빙(冫)', '안석 궤(几)' (1) | 202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