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

한자 부수 스토리 : '얼음 빙(冫)', '안석 궤(几)'

by JadeWolveS 2025. 3. 8.


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冫(얼음 빙)’은 ‘얼음’을 뜻하는 부수로서,
본래 한자의 ‘氷(빙)’이 간략화되어 부수가 된 형태입니다.

고대 문자에서는 ‘氷(얼음)’ 자체가 ‘물(水)’이 굳어 덩어리진 모양을 나타내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왼쪽의 일부가 따로 떨어져 나온 ‘冫’이
추위·얼음과 관련된 의미를 담당하는 부수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얼음 빙)과 水(물 수)는 물이 얼었으니



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几(안석 궤)’는 본래 작은 탁자나 안석
(팔걸이를 갖춘 낮은 의자/받침대)을 그림으로 나타낸 상형문자입니다.

갑골문 보이는 초기 형태를 보면,
아래쪽에 다리가 달린 간단한 받침대를 옆에서 본 모양이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획수가 간략화되어 현대의 ‘几’ 모양이 되었습니다.
주로 ‘탁자’, ‘받침대’ 등과 관련된 뜻을 나타내거나, 글자의 부수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안석 궤) + (또 우)는 나무를 들고 또 친다고 하여  殳 (몽둥이 수)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멀 경(冂)', '덮을 멱(冖)'

한자유래 冂(경)은 상형 문자로, 본래 둘러싸인 테두리 또는 멀리 펼쳐진 지형을 나타냅니다.후에 ‘멀다’(遠) 또는 ‘바깥’을 뜻하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습니다.入(들 입) +冂(멀 경) 은 사람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