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TV, 청소기 한국 시장 공략하는 중국 기업
중국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한국을 앞선 지 오래며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은 중국 제품이 저품질에 불량이라는 인식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느새 중국 기업은 한국의 대기업 삼성, 엘지, 현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유럽과 미국을 공략하며 시행착오 끝에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가까운 한국 시장을 25년 본격적으로 공략하기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 기업인 BYD는 자동차 강국인 일본을 상대로 전기차 시장에 도전장을 냈으며, 일본에서 전기차 판매량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성공전략을 바탕으로 16일 한국 시장에도 출사표를 던졌습니다.중국 디스플레이 강자인 TCL을 23년 한국법인을 설립하여 중저가 디스플레이 시장을 장악하며,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까지 넘보고 있습니다. TCL은 가격도 삼성 엘지에 비해 반값으로 저렴하고, 기술력 격차를 좁히며, 좋은 평가를 받으며 한국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점진적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과거 한국은 발전을 도약하며 일본 기업들에 멸시와 조롱을 받았으나 기술을 배워 이 치욕을 되갚아 주고자 했습니다. 이제 한국이 일본 기업보다 뛰어난 기술력으로 현재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국은 정상에서 중국 기업들을 멸시하고 있는 사이 일본과 같은 참사를 되풀이할지 두고 볼 일입니다.중국은 가까운 한국 시장을 놔두고 미국, 유럽, 일본을 공략한 뒤 한국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국 기업과 제대로 승부를 보려는 중국 기업
한국 소비자는 세계적으로 가장 합리적이며, 까다로운 소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콧대 높은 일류 요식 기업들조차 한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 한국에 테스트 제품을 가장 먼저 선보입니다. 한국 소비자는 제품 선택에 있어, 타사 제품과 기능 비교, 합리적 가격, AS 기타 등등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는지 따져봅니다.특히 전자 제품에 대해서 자부심을 가진 한국인들은 삼성, 엘지 제품을 선호하며, 애국심도 높은 편에 속해 글로벌 전자기업들이 공략하기 어려운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때 청소기 시장에 돌풍을 일으킨 다이슨도 어느새 삼성, 엘지가 내놓은 청소기 제품으로 인해 고전하며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한국 소비자의 니즈를 사로잡는 기업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통한다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한국은 시장규모가 작아 적은 비용으로 제품을 테스트하기에 좋은 곳입니다. 중국은 뛰어난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미 로봇청소기 시장에서는 로보락이라는 중국 기업이 70% 점유율을 장악하였고, 젊은 부부들의 신혼 가전에 필수템이 되었습니다.로보락은 철저하게 중국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숨기고 한국 시장을 공략하였으며, 삼성, 엘지 로봇청소기보다 비싼 가격으로 팔리고 있습니다. 뛰어난 기술과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소비자의 주머니를 열고 있는 것입니다.중국 기업은 이제 한국 기업 제품과 경쟁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섰고, 제대로 승부해 보기 위해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내놓기 전 한국 시장을 테스트 버전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세계적으로 열광하는 K문화를 마케팅으로 활용하려는 중국 기업
기업은 제품 개발, 생산, 마케팅에 막대한 비용을 지불합니다. 마케팅은 잘못된 전략으로 인해 돈을 쓰고도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마케팅은 많은 대중이 보고 신뢰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전 세계적으로 K-POP과 K-DRAMA 등 한국의 문화를 전 세계적으로 알리고 있는 사이 중국 기업은 한국 문화에 본인들의 제품을 광고하는데 욕심을 내고 있습니다. 한국 콘텐츠에 중국 제품이 버젓이 광고가 된다면 소비자는 한국 제품이라 생각하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앞서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도 미국 시장에 진출할 때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일본 기업들과 나란히 제품을 걸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은 삼성, LG 제품이 일본 제품이라 자칫 오해하며,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였습니다. 그 후 삼성, 엘지는 미국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50% 이상 장악하며 일본 기업들과 경쟁에서 이겼습니다.미국인은 삼성이 한국 기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도 최근에 알려진 사실입니다. 한국이 썼던 전략을 중국기업이 그대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단지 차이라면 K-CULTURE가 전 세계를 상대로 흥행하고 있기에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미지 마케팅도 빠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제품에 이미지를 중국 기업에도 덮어 씌울 수 있습니다.중국 기업은 한국이 일본 기업을 이기는 전략을 고스란히 따라 하며 저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보려는 전략으로 25년부터 공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전기차 사야할까 말까?<1부>
전기차 인기, 자동차시장 판도 바꿔친환경 차로 불리며 자동차 시장에 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전기차. 전기차의 발명 시기는 내연기관의 역사와 비슷하다. 내연기관의 발명에도 불구하고 전
jwsbook.com
'청랑 투자 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쿼드데믹, 중국 메타노뮤 바이러스 대확산 : 바이오 기업 관련주는? (4) | 2025.02.03 |
---|---|
K조선, 트럼프 정책으로 급등 : 조선업 수혜주 분석 (3) | 2025.01.26 |
미국은 왜 그린란드에 관심을 가질까? (3) | 2025.01.15 |
새해 을사년 푸른 뱀의 해 주도주는 누가 이끌 것인가? (4) | 2025.01.13 |
대한민국 최고 기업 삼성은 지금 어디를 주목하고 있을까? (4) | 2025.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