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교육 식견874

시각적 학습법 가미한 교육의 이점 책 외면 영향 문해력 부족해져컴퓨터를 통해서만 인터넷을 접하던 시대에서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언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세상은 많이 변했다. 젊은 세대들은 큰 영향을 받아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으로 세상의 트렌드를 습득하고 있다. 더욱이 영상으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독서를 통한 정보 습득은 등한시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영상을 통해 배우려는 경향이 강하고 책을 가까이하지 않다 보니 문해력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책과 미디어 중 어떤 것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이들의 학습에 더 도움이 되는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인지 학습법과 마인드셋 같은 교육이 최근 유행하면서 시각적 학습법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비대면 교육이 학습 질 더 높여인간의 뇌는 정보를 저장.. 2023. 1. 14.
자녀 교육은 맹자 어머니처럼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맹자가 처음 어머니와 살았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다. 맹자는 함께 놀 만한 벗이 없는 데다 자주 장례를 치르는 모습을 본 터라 곡(哭)을 하는 등 장사 지내는 놀이를 했다. 이 광경을 목격한 맹자의 어머니는 안 되겠다 싶어서 이사했는데 하필 시장 근처였다. 그러자 이번에는 맹자가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장사꾼들의 흉내를 내면서 놀았다. 어머니는 이곳도 아니다 싶어 이번에는 글방 근처로 이사를 하였다. 그랬더니 맹자가 제사 때 쓰는 기구를 늘어놓고 절하는 법이며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 등 예법에 관한 놀이를 하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이곳이야말로 아들과 함께 살 만하다고 판단, 마침내 그곳에 머물러 살았다고 한다. 아들 교육을 위해 3번이나 이사한 이러한 어머니의 노력으로 맹자는 유.. 2023. 1. 13.
분노라는 감정의 쓸모 분노, 나쁘기만 한 것인가분노의 사전적 의미는 몹시 분개하여 성을 냄이라는 뜻이다. 분노를 드러냄이 나쁘기만 하고 어른스럽지 못한 감정의 찌꺼기에 불과한 것일까. 미국 생리학자 월터 캐논은 “분노라는 감정은 방위 감정으로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당신의 분노는 무기가 된다'의 저자 안도 슈스케는 오히려 분노라는 에너지를 건설적 계획을 세우는데 쓴다면 자신에게 이롭다고 지적한다. 분노는 분명히 인류 발전에 공공연하게 이바지했다. 그렇다면 분노가 얼마나 쓸모 있을까.#MeToo 운동#MeToo는 '나도'를 의미하는 'Me Too'에 '#'을 붙여 사용한 SNS 용어이다. '#'을 단어나 문구 앞에 붙여 '해시태그'로 사용하면 그 단어나 문구가 공유하기 쉬워지는 기능이다. '.. 2023. 1. 12.
자녀의 미래를 결정하는 건 아빠 아빠와 친한 자녀 성공 확률 높아영국 국립 아동 발달연구소가 7, 11, 16세 아동 및 청소년 1만 7천 명을 대상으로 30년에 걸쳐 생애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아빠와 친한 아이들은 사회적으로 인성이 좋고, 능력을 발휘하며 행복한 가정을 꾸렸다. 또 아이들의 지능이 우수하고 언어 발달이 뛰어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자식 교육은 엄마가 시킨다는 과거와 달리 요즘은 육아를 부모가 같이 분담하면서 자녀에게 미치는 아빠의 영향력이 커졌다. 아빠가 자녀 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자.아버지는 스승 100명보다 낫다최상위권 학생들을 살펴보면 재밌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계기나 과정에 있어 무심결에 아버지가 많이 언급된다. 아빠가 공부에 관심을 쏟는 것은 자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2023. 1. 7.
성적이 낮은 학생 천재일수도 시험이라는 모순시험의 유래는 동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옛 왕조 송나라 때 학연과 지연에서 벗어나 실력을 갖춘 인재(신하)를 뽑기 위해 '과거제'를 도입한 것이 시험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지금도 지식수준, 즉 지적 능력을 판가름하는 가늠자로 시험제도가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험을 잘 치른 학생이 그 분야에서 탁월하다고 볼 수 있을까. 시험 성적은 특정 분야의 범위를 잘 암기하거나 이해하고 있는지와 어떤 유형의 문제를 잘 풀 수 있는지를 따지는 ‘기초 결과물’일 뿐이다. 그러므로 성적이 좋다고 모든 분야, 또는 특정 분야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아주 좋은 예가 ‘상대성 이론’을 제시한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을 꼽을 수 있다. 그는 .. 2023. 1. 5.
공자는 맞춤형 교육자 현장학습을 사랑한 공자공자(孔子)는 춘추전국 시대에 노나라 사람으로 동양사상의 기초가 되는 유학(儒學)의 창시자이다. 유학이라 하면 서당에서 주로 책을 읽으며 가르치는 것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공자는 제자들과 여러 나라를 떠돌며 현장학습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그의 교육은 귀족들만 배우는 식의 기존의 틀을 깨고 서당 밖으로 나와 수많은 사람을 만난다. 조그마한 선물로 예를 갖춘 뒤 배움을 청하면 공자는 신분을 가리지 않고 제자로 받아들여 가르쳤다. 공자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안회(顔回), 자로(子路), 자공(子貢) 등을 꼽을 수 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교육했을까.생사를 통해 깨닫는 제자 안회안회는 배움을 좋아하고 항상 진실했기에 공자가 가장 아낀 제자였다. 학덕이 높고 재질이 뛰..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