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랑 교육 식견893 독서방식! 내 스타일따라 <2부> 나에게 맞는 독서 방식이 있다?!사람들은 자기만의 방식과 패턴이 있다. 그렇다면 공부방법이나 성향도 자기에게 맞는 방식이 존재한다.우리는 여러가지 독서 방식을 참고하며 나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가면 된다.본인의 독서 방식이 없다면 따라서 해보는 것도 좋다. 꾸준하게 훈련하면 능히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5. 운동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오래 앉아 있는 것에 익숙하지 않고 몸을 움직이는 일이 많다면 책을 자신의 이동 동선에 두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되도록이면 집에서 쉬고 있는 동안에 책을 읽는 것이 좋다. 물 한잔 마시러 갈때 짧은 문장하나를 읽거나 식사를 하고 난 후 또는 활동적인 일을 하고 난 다음 책을 읽는다면 차분한 마음으로 책을 보게 될 것이다. 다시 몸을 움직이고 싶을 때는 책 읽는 것을.. 2023. 1. 27. 독서방식! 내 스타일따라 <1부> 나에게 맞는 독서 방식이 있다?!사람들은 자기만의 방식과 패턴이 있다. 그렇다면 공부방법이나 성향도 자기에게 맞는 방식이 존재한다.우리는 여러가지 독서 방식을 참고하며 나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가면 된다.본인의 독서 방식이 없다면 따라서 해보는 것도 좋다. 꾸준하게 훈련하면 능히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나의 스타일에 맞는 독서 방법1. 급한 성격최대한 단 권으로 요약이 잘 되어 있는 책을 고른다. 서두가 길면 지루하고 답답해서 나에게 그 책은 더 이상 읽고 싶은 책이 아니다. 빠르게 내용을 정리해주는 느낌이 있는 책이면서 화제 전환이 빠른 책을 읽는 게 좋다. 짧은 스토리가 있는 책들이나 간단한 예시가 있는 책들이 나에게 도움이 된다.2. 다양하게 동시에 하는 성격여러 주제에 관련 된 책을 동시 다발적으로.. 2023. 1. 26. 스파르타식 교육은 이제 그만 엄격함이 통하지 않는 시대과거에는 자녀가 부모님 말씀을 곧잘 따랐다. 당시 부모의 엄격하고 강한 교육을 지금은 ‘스파르타식 교육’이라 부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탈권위적이어야 하고 자녀의 기를 살려야 한다며 부모의 엄격한 교육을 제한하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예의를 지키지 않아도 기(氣)를 살려준다는 이유로 부모들은 이를 방치한다. 어떤 방식으로 자녀를 교육하는 것이 좋을까?'칵테일 파티' 효과칵테일 파티 효과는 칵테일 파티에서 여러 사람의 목소리와 잡음이 많은 상황에서도 본인이 흥미 있는 이야기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인간은 귀를 통해 온종일 다양한 소리를 듣지만,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지각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칵테.. 2023. 1. 25. 훌륭한 스승은 답을 주지 않는다 빠르게 답을 찾아주는 정보화시대요즘 우리는 변화무쌍한 시대에 살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궁금한 것이 있으면 검색을 통해 금방 답을 찾을 수 있다. 궁금증이 생기면 인터넷을 통해 각 분야의 뛰어난 전문가가 제시한 답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궁금증을 해결해 주니 고민할 필요도 없고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인터넷은 거의 조건 반사적으로 답을 찾아주지만 깊은 사고를 하는 데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복잡한 상황에서는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야 한다. 인터넷 검색 등 조건 반사적인 대처로는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는 뜻이다. 사고력을 키워 부닥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나갈 필요가 있다. 수업 없이 쪽지 시험만 치는 교수하버드 대학교에서 있었던.. 2023. 1. 23. 류성룡의 자녀 교육법 임진왜란 수습한 명재상 류성룡서애(西涯)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혼란스러운 조정을 수습하고 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면서 왜군을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한 재상이다. 그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에게서 배웠으며 뛰어난 인재로 인정받았다. 현실주의를 중요시했던 류성룡은 정치에서 물러나 자녀교육과 제자를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훗날 실학의 대가라 불리며 미래를 보는 뛰어난 식견으로 나라를 구한 류성룡의 자녀 교육법에 대하여 알아보자.조부로부터 절제와 배려 배워류성룡의 집안은 400년이 넘게 할아버지와 손자가 사랑방에서 같이 자고 식사도 함께하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고 한다.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면서 손자는 음식을 어른께 양보하는 등 예절과 배려를 배우게 된다. 또 절제와 .. 2023. 1. 20. 유래를 알면 고민되는 식사 예절 손으로 먹는 게 식사 예절17세기 서유럽 프랑스에서는 태양왕이라 불리는 루이 14세의 등장으로 문화적 발전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지게 된다. 루이 14세 땐 식사 예절의 품격도 왕권 강화라는 측면에서 한층 격이 높아졌다. 여기까지 읽었다면 지금의 프랑스 식사 예절의 출발점이 루이 14세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루이 14세의 식사 예절 측면에서 살펴보면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현대의 예절은 우스꽝스러울 것이다. 식사 예절을 엄격하게 만들었던 루이 14세조차도 포크를 사용하지 않고 수프에 있는 고기를 손으로 건져 먹었기 때문이다. 루이 14세가 만든 식사 예절 중 몇 가지를 들면 '음식을 먹던 손가락을 빨아서는 안 된다.', '식사할 때는 오른손을 사용해야 한다.' 등이 있다. 현대의 .. 2023. 1. 19. 제사는 누구를 위한걸까? 제사의 시작, 언제부터?제사(祭祀)는 돌아가신 조상에게 음식을 바치며 추모하는 의식으로 한국과 중국을 포함해 여러 나라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제사의 유래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재밌는 사실을 알게 된다. 우리나라 제사는 고려시대 4대 왕 광종(光宗) 때부터 자리 잡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종은 중국 후주(後周) 출신 쌍기(雙冀)를 통해 유학을 들여왔다. 쌍기는 광종 7년(서기 956년) 봉책사 설문우(薛文遇)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병이 나 머물게 되었고 고려에 귀화, 과거제도 설치를 건의한 인물이다. 불교를 숭상하는 고려가 국가 기반을 다지는데 유교적인 체제의 힘을 빌리고 싶었다. 유학이 고려에 유입이 되면서 조상에 대한 예의와 격식을 갖추는 문화도 자리 잡게 되었다. 유교를 신봉하는 신하들 .. 2023. 1. 16. 시각적 학습법 가미한 교육의 이점 책 외면 영향 문해력 부족해져컴퓨터를 통해서만 인터넷을 접하던 시대에서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언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세상은 많이 변했다. 젊은 세대들은 큰 영향을 받아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으로 세상의 트렌드를 습득하고 있다. 더욱이 영상으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독서를 통한 정보 습득은 등한시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영상을 통해 배우려는 경향이 강하고 책을 가까이하지 않다 보니 문해력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책과 미디어 중 어떤 것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이들의 학습에 더 도움이 되는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인지 학습법과 마인드셋 같은 교육이 최근 유행하면서 시각적 학습법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비대면 교육이 학습 질 더 높여인간의 뇌는 정보를 저장.. 2023. 1. 14. 자녀 교육은 맹자 어머니처럼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맹자가 처음 어머니와 살았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다. 맹자는 함께 놀 만한 벗이 없는 데다 자주 장례를 치르는 모습을 본 터라 곡(哭)을 하는 등 장사 지내는 놀이를 했다. 이 광경을 목격한 맹자의 어머니는 안 되겠다 싶어서 이사했는데 하필 시장 근처였다. 그러자 이번에는 맹자가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장사꾼들의 흉내를 내면서 놀았다. 어머니는 이곳도 아니다 싶어 이번에는 글방 근처로 이사를 하였다. 그랬더니 맹자가 제사 때 쓰는 기구를 늘어놓고 절하는 법이며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 등 예법에 관한 놀이를 하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이곳이야말로 아들과 함께 살 만하다고 판단, 마침내 그곳에 머물러 살았다고 한다. 아들 교육을 위해 3번이나 이사한 이러한 어머니의 노력으로 맹자는 유.. 2023. 1. 13.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