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세상 식견/청랑 이슈 식견250

공공장소에서 과한 스킨십, 남편과 이혼사유? 조선시대였다면? 남편의 지나친 성욕 이혼 불러와유튜브에 올라온 이혼 사유입니다. 결혼 2년 차 A 씨는 남편과의 취미나 유머는 잘 맞지만, 공공장소에서의 과도한 스킨십으로 인해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연애 초기에는 애교 수준이라 생각했지만, 결혼 후 남편의 행동은 점점 수위가 높아져 사람들 앞에서도 옷 안에 손을 넣는 등 A 씨에게 수치심을 안겨주었습니다. A 씨는 집에서만 스킨십을 원한다는 의사를 수차례 밝혔지만, 남편은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장난으로 받아들이며 강요했습니다. 결국 호프집에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또다시 무리한 행동을 당한 A 씨는 분노해 자리를 박차고 나왔습니다. 남편은 부부 관계 유지를 위해 이런 장난을 받아줘야 한다며 되려 윽박지르며 책임을 전가했습니다. 이후 아내는 남편과 이혼을 진지하게 .. 2025. 3. 25.
정국 혼란 속 정치 유튜버 3.1억 수익, 과거 혼란 속 이익 챙긴 인물은? 정국 혼란에 정치 유튜버 3억넘게 벌어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 유튜버들이 슈퍼챗 수익으로 큰 호황을 누렸습니다. 보수 성향 '신의한수'가 약 3억1000만원으로 가장 많은 후원을 받았고, 진보 성향 '뉴스공장'도 약 2억4000만원을 벌었습니다. 윤 대통령 체포 및 탄핵 관련 주요 이슈가 유튜버들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던 채널들도 급성장했습니다. 일부 유튜버는 시위 현장이나 관저 인근에서 생중계하며 수익을 끌어올렸으며,유튜브 외 계좌 후원도 많아 실제 수익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정치 유튜버는 혼란을 틈타 이슈를 생산하면서 큰 수익을 냈던 사례가 고대 역사에도 있었습니다. 그들도 양국의 대립속에서 이권을 제대로 한 몫 챙겼습니다.중국.. 2025. 3. 24.
뉴진스 가처분 결정, 어도어와 법적 분쟁 : 역사 속 비슷한 사례는? 뉴진스 법원 가처분 결정으로 위기 맞다뉴진스(NJZ)는 최근 법원의 가처분 결정으로 활동 제약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하룻밤 사이에 K팝 산업이 변할 것이라 기대하지 않았다”라고 말하며, 그간 겪어온 어려움에 비추어 이번 사태를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자 하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법원은 원 소속사인 어도어가 제기한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 계약 체결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전부 인용해, 멤버들의 독자적 광고 계약 등 상업 활동을 금지했습니다. 뉴진스는 지난해 11월 의무 불이행 등을 이유로 어도어와의 계약 해지를 선언하고 독자적인 활동을 해왔습니다. 어도어 측은 “멤버들이 복귀한다면 충분히 오해를 해결할 수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멤버들은 가처분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본안 소송에서 계속.. 2025. 3. 23.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촬영지 배경, 제주도의 잊힌 이름과 숨겨진 역사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로 제주도 주목받아넷플릭스에서 '폭싹 속았수다'가 인기리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1950년대 제주를 배경으로 한 시대극으로 당차고 야무진 소녀 오애순(아이유)와 우직하고 헌신적인 소년 양관식(박보검)의 사랑 이야기입니다. 모든 세대의 공감을 얻으면서 진정한 사랑과 가족애를 보여주며 가장 한국적인 가족의 모습을 세계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드라마 인기만큼 아름다운 제주도에 흠뻑 빠져들게 만들며 제주시도 드라마를 통해 제주도 알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한국의 가장 아름다운 섬이라 불리는 제주도 그 이름은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태초의 제주도 이름 탐라국제주도의 역사는 탐라국이라는 독립된 왕국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탐라국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삼국사기』와 『.. 2025. 3. 21.
부산 노인과 바다 오명으로 북항 개발 승부수, 역사 속 성공 사례는? 학령인구 감소! 비수도권!대표기업 없는 부산 북항개발에 필사적부산은 학령인구 급격한 감소로 문 닫은 학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부산시 교육청과 부산 시의회에 따르면 부산에서 문 닫은 학교는 모두 50곳입니다. '제2의 수도'라는 지위는 이미 경제 규모에서 서울에 가까운 인천에게 뒤처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인천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은 116조8630억원으로, 부산(114조1650억원)을 추월했습니다.  지역 내 총생산은 해당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합산한 것으로, 경제 규모를 비교하는 데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인구 등 다른 지표를 봐도 인천과 부산의 희비는 명확하게 엇갈렸습니다. 지난 1월 기준 부산 인구는 5년 전보다 14만 8000명 감소했는데 인천.. 2025. 3. 21.
서해 중국 구조물 설치로 한중 잠정조치수역 갈등 - 당나라 서역 확장 전략과 비슷? 중국 약속을 지키지 않고 서해에 양식장 설치하다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직경 70m, 높이 71m 이상의 대형 심해 양식장 '션란' 1, 2호기를 설치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 해당 수역은 양국이 수산 자원을 공동 관리하는 구역으로, 어업과 항행 외 다른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나, 중국이 이를 무시하고 구조물을 세운 것이다. 우리 해양조사선이 해양오염 우려로 조사를 시도했으나, 중국 해경과 민간선박이 이를 저지하며 2시간 동안 대치가 이어졌고 결국 조사는 무산되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정당한 조사 활동을 방해한 중국 측에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중국은 이동식 어업시설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를 영구 시설화하여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삼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과거에도 중국이 같은 수역에 석유 시.. 2025. 3. 20.